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경량철골 공사 (벽체 작업)

by 안녕앵두 2023. 1. 31.
반응형

1. 경량벽체의 구성


경량철골은 목재를 이용하여 벽체틀이나 천장틀을 구성하였던 작업들을 철재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불연성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건물의 자체 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진 소재 또는 제품이다. 경량철골공사에는 벽체틀을 만드는 작업과 천장틀을 만드는 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벽체들의 기본 소재는 메탈 스터드를 사용하며, 천장틀은 일반적으로 LGS라고 불리는 경량천장틀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경량벽체를 구성하는 메탈 스터드의 기본 구성은 메탈 스터드와 런너 및 보강용 채널로 되어있으며, 일반적으로 스터드에 의한 골조와 석고보드로 구성된 벽체를 건식벽체(드라이월)라고 부른다. 스터드 및 부속품에 대한 종류와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C-스터드
- 내연 강판을 기본적인 소재로 하고 있다.
- 칸막이벽, 내화피복기둥 및 보 등의 비내력 건식벽의 기본적인 재료이다.
- 스터드의 설치 간격은 300mm와 450mm로 한다.
- 일반적으로 65mm 메탈 스터드가 시공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2) CH-스터드
-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진 비내력 강제 받침대이다.
- 내와 및 차음효과가 요구되는 계단실, 대형 통풍구, 덕트시설, 고층건물의 수직 샤프트 등에 사용된다.

3) E-스터드
- 주로 외벽과의 접합부휘에 사용된다
-  ch-스터드의 마무리용 스터드로 사용된다.
- 칸막이 벽의 2중 스터드로 사용된다.

4) 스틸런너
- 용융 강판을 기본소재로 하고 있다.
-  천장과 바닥면에 고정하여 스크루 스터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5) 퍼링 채널 시스템
- 냉연용융 아연 강판을 모자형태의 단면으로 성형한 제품이다.
- 벽과 천장에 설치한 후 석고보드를 나사못으로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 최대 설치간격은 수직설치에는 610mm, 수평설치에는 406mm 정도로 한다.

6) 기타 보강자
- 보강 채널: 메탈 스터드가 설치되는 장소의 높이가 높을 때 스터드의 흔들림이 없게 잡아주기 위한 역할을 위하여 사용한다.
- 메탈트림 및 케이싱 비드: 창호류, 천장의 모서리 부분과 석고보드가 벽체와 접하는 부분에 석고보드의 보호용으로 사용한다.
케이싱 비드는 퍼티 처리가 필요치 않으나, 메탈트림은 컴파운드 처리를 한다.
- 코너비드: 석고보드로 벽체를 시공할 경우 벽체가 직각으로 꺾어지는 부분의 코너 파손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제품으로 컴파운드 처리를 한 후 도장이나 도배 등의 마감재로 마감을 한다.

2. 스터드 벽체 시공


경량 스터드 벽체는 건식 공사, 조적이나 시멘트를 사용하는 공사는 습식공사에 해당한다.
습식공사로 발생되는 건물의 중량화 및 공사기간의 장기화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공법이 건식공법이다.
건식벽체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벽체를 조성하는 공법으로 스틸계 금속프레임에 유리, 보드류로 마감하는 방법과 스터드 구조에 석고보드와 합판을 사용한 벽체시공이 대표적이다.

스터드 벽체의 구성은 스터드 + 흡음충진재 + 석고보드 + 마감재가 기본이다. 방음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차음재와 공기층을 두기도 한다. 스터드 벽체 공사의 일반적인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런너 및 스터드는 아연도금 철판으로 두께는 0.8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건식벽체 조성에는 KS제품의 석고보드를 사용하여야 하며, 제조회사, 품목, 형태, 등급이 동일하여야 한다.

3) 석고보드 붙임은 일반적으로 9t 또는 12t 2겹을 한다.

4) 석고보드 붙임 시의 허용 오차
- 수평 수직으로 2.5m 까지는 2.5mm 이내, 1.5m 까지는 1.5mm 이내로 한다.
- 조인트 시 1.5m 이내의 면은 평평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5) 건식벽체 시공 순서
- 설계도서에 따라 메탈 스터드의 설치 부위에 먹매김을 한다.
- 스터드를 상하 런너 사이에 300mm~450mm 간격으로 설치하고 수직을 정확하게 잡고 고정시킨다. 이때 스터드의 날개의 방향은 한쪽 방향으로 서로 동일하게 해 준다.
- 스터드 설치 높이가 4m 이상의 경우에는 1,800mm 간격으로 보강을 한다.
- 도어 또는 창이 설치되는 부분은 스터드 2 겹치기로 보강하여 문이나 창문의 틀 두께에 최대한 맞추어 주고 열고 닫을 때 생기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 바탕보드로 석고보드 1겹을 나사못을 이용하여 750mm 간격으로 스터드에 부착한다. 2겹은 치장보드로 석고보드 위에 나사못 또는 타카핀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2겹째 석고보드를 붙일 때는 본드를 충분히 도포하여야 한다.
- 석고보드 일면 붙이기 작업이 완료되면 스터드 사이사이에 단열재를 충진 한다.
-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 통신, 방송 등 케이블의 위치를 파악하고 배치되도록 하여야 하며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 단열재 충진이 완료되면 나머지 면에 대하여 1면의 석고보드 붙이기 작업과 동일한 방법을 시공한다.
- 석고보드의 이음매 부분에는 조인트 테이프를 부풀음 또는 공기층 없이 정밀하게 붙여야 하며,
조인트 컴파운드로 이음매 부분을 메워 주며 24시간 정도 경화시킨 후 후속 작업을 실시한다.

6) 방음공사
- 기본 스터드 벽체는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이 미흡하다. 방음을 위해서는 기본 벽체에 흠음충진재와 차음재의 사용을 반복하여 시공하고 흡음 마감재로 마감한다.
- 벽체는 텍스 등 천장마감재 위의 천장까지 설치한다. 건축구조물이 아닌 천장 마감재까지 공사하는 경우 천장을 통하여 소리가 전달될 수 있다.
- 방진고무를 사용하면 저음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다.

반응형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의 종류와 가공목  (0) 2023.02.04
경량철골 공사 (천장 작업)  (0) 2023.02.01
건축 가설 공사  (0) 2023.01.30
건축 공사 입찰 과정  (0) 2023.01.29
철거공사와 폐기물처리  (0) 2023.01.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