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건축 가설 공사

by 안녕앵두 2023. 1. 30.
반응형

1.  건축 가설공사의 내용


가설공사에는 비계설치, 낙하물방지망, 가설화장실, 휘장막, 가설창고, 가설사무소, 가설칸막이 등 공사에 필요로 하는 관리상의 시설들이 포함된다.
본 공사를 시공하기 위한 준비과정의 공사로 본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철거가 되어 없어지는 시설이며 공사의 안전과 원활한 공사의 지원을 위한 공사이다.

1) 먹매김
- 먹매김 과정에는 설계자, 목수 및 현장 소장 등 필요 인원이 참여한다.
- 설계도의 치수에 따라서 현장에서 제 위치에 1:1로 도면을 옮겨 그리는 과정이다.
- 높이의 기준은 바닥에서 1m의 높이에 수평으로 기준 먹을 놓는다.
- 설계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치수나 내용에 대해서는 설계자와 감리자 또는 현장소장의 지시에 따른다.

2) 비계
비계는 공사 시 작업을 요하는 내. 외부의 위치가 높이가 높거나 높은 곳의 공사내용이 많거나 장시간의 작업이 예상될 경우 설치하는 임시 시설물이다.
-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높이가 다양하다. 조절하여 설치 가능하다.
- 고정형도 있지만 바퀴를 달아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도 있다.
- 재질은 주로 일반구조용 단소강관을 사용하고 있다.
- 실외공사와 실내의 층고가 높은 공사 모두 사용된다.
- 조립, 해체, 재활용 및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다.

(1) 비계의 설치 조건
- 설계도면의 내용을 면밀히 파악 후 작업하기 좋은 높이와 위치에 인접해야 하며, 설치 바닥이 고른지 반드시 확인할 것
- 작업자의 추락방지 및 안정성에 대한 확인 필요
- 하부에 작업 중인 작업자 또는 작업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구 및 재료의 추락방지 및 안전성에 대한 확인 필요
- 강도 및 충격에 대한 안전성 확보 필요
- 설치된 비계로 인하여 작업자의 통행 및 시공에 방해를 주지 않을 것

(2) 비계의 설치 기준
- 기준에 적합한 자재 사용
- 받침널, 받침판 등 침하방지 및 밑동잡이 설치
- 비계의 전도에 대한 방지조치를 충분히 한다.
- 작업상의 발판은 전면에 걸쳐 빈틈이 없게 한다.
- 갑작스러운 이동이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한다.’
- 비계의 최대높이는 밑변 최소폭의 4배 이하로 한다.
- 최대 적재하중을 잘 보이는 곳에 표시한다.
- 승강용 사다리는 튼튼하게 설치한다.
- 부재의 접속부나 교차부는 확실히 연결한다.
- 작업자가 타고 있거나 자재 및 공구를 실은 채로 이동하지 않는다.
- 작업장 부근의 공압선에 대한 절연조치와 단전조치를 한다.
- 상하의 작업자 간 충분현 협조를 취한다.

3) 비계의 종류

(1) 단관파이프 비계

(2) 조립식 비계(이동틀비계)
현장의 상황이 천장 또는 벽면에 비계를 고정 또는 설치할 수 없는 경우나 짧은 기간 내의 공사에 사용한다.
작업물의 양이 많거나 범위가 넓거나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높다.
넓은 면적의 전체에 비계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사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다.
주틀, 수평틀, 헤드잭, 연결핀, 작키 베이스, 교차가새, 비티바퀴 등의 부속이 쓰인다.

(3) 안전발판
높은 장소에 설치한 비계틀 위에서 작업이 용이하도록 설치하는 발판이다.
자체의 강도가 높으며 설치와 시공이 간편하다.
발판의 설치는 갈고리를 단관파이프에 정확하게 연결하고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고 비계와 비계간의 수직이동은 가설계단을 설치하여하도록 한다.
공사 이외의 다양한 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걸이의 형태에 따라 안전발판과 갱폼용 발판으로 나뉜다.

(4) 시저 리프트
이동틀비계의 장점에 이동 편리성을 보완한 장비이다. 작업자가 탑승하여 직업 운전을 하여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나 이동 비계틀보다 대여 비용이 높은 편이다. 전기충전식과 디젤엔진 방식이 있는데 실내 공사 시에는 디젤엔진 방식보다는 전기 충전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브래킷
브래킷은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에 난간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외부 비계를 고정시키거나 좀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가설재이다.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는 장소는 발코니, 슬라브, 계단, 엘리베이터 코어 등이 있다. 브래킷의 종류는 발코니용 브래킷, 측벽용 외줄 브래킷, 측벽용 쌍주루 브래킷 등이 있다.

2. 가설전기

건축 공사 시 공사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임시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한전에 신청하여 임시 계량기를 설치한다.
현장 공사에 사용되는 장비와 조명에 필요한 전력량을 파악하여 적정용량의 전원을 공급되도록 한다.

1) 가설 분전반
공급해 주는 전기설비로서 사용하는 분전함을 말한다. 가설 분전반에는 누전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어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설 분전반의 박스는 스틸 또는 FRP 제품이 사용된다. 분전반으로부터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까지는 안전 릴 케이블을 이용한다.

2) 가설조명
가설조명은 공사 기간 동안 어두운 곳에서 현장 내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조명이다.

3. 보양

보양은 높은 완성도를 위하여 공사 중 기존시설, 또는 진행되어 만들어진 제작물의 파손, 훼손,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임시로 설치하는 보호 방법을 말한다. 골판지, 장판, 하드보드, PVC 패널, 합판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페인트 도장 공정 중 벽면의 마감 공정이 완료된 후 천장 공사가 진행될 시 벽면에 비닐 보양재(커버링)를 이용하여 보양하고 도장재료가 벽면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다. 바닥 마감 공정의 완료 이후에는 주로 합판을 이용하여 보양한다.

(1) 합판
바닥에 타일이나 석재를 시공하였을 경우에 보양재로 선택되며, 합판과 합판 사이의 이음매는 강력한 테이프를 사용해야 한다.
(2) 비닐
벽체 넓은 면 또는 천장의 마감재를 보호하거나 도장공사를 할 때, 이미 시공된 마감재에 페인트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공정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먼지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3) 골판지
넓은 벽면 또는 바닥에 흠집으로부터 보호를 해주는 마감재다. 종이 골판지와 플라스틱 제품이 있다.
(4) 각대
플라스틱 또는 종이 제품으로 벽체의 코너 부분, 목재 문틀, 타일 코너의 파손 방지용으로 사용된다.
(5) 고무판
고무 연질 제품으로 곡면이나 충격이 빈번한 부위에 사용된다.














반응형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량철골 공사 (천장 작업)  (0) 2023.02.01
경량철골 공사 (벽체 작업)  (0) 2023.01.31
건축 공사 입찰 과정  (0) 2023.01.29
철거공사와 폐기물처리  (0) 2023.01.28
인테리어 목공사의 장 단점  (0) 2023.01.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