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석재 공사
1. 인테리어 석재 공사 시공 시 유의사항 석재는 다른 재료에 비하여 중량이 무겁고, 채석 가공 과정이 어려우며, 고가이며, 동일한 색상이나 문양의 석재를 얻기가 어렵고, 재료의 성질, 강도, 외관, 생산량 및 산지로부터의 수송 관계 등을 충분히 검도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석재가 주는 재료의 질감이 장중, 미려함, 불연성이고 압축강도가 크고 내수성, 내구성, 내화학성이 풍부하고 마모성이 적은 점 등 실내공간을 연출하는 재료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석재의 역할은 구조재보다는 치장재 또는 마감재로 사용하고 있다. 시공 시 유의사항 1) 일반사항 - 바탕 콘크리트면은 충분히 청소한 후 기준 틀에 따라 수직, 수평실을 친다. - 바닥석재를 깔기 전에 바탕면을 물로 충..
2023. 1. 23.
인테리어 타일 공사
1. 타일의 분류 타일은 점토를 이용하여 특정 형태를 만든 다음 소성시킨 제품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건축의 내, 외장 재료로 많이 사용된고 있는다, 이것은 벽, 바닥을 보호하는 측면과 다양한 패턴 및 채색을 통하여 장식적 측면도 겸한 기능을 갖고 있다. 내구성이 크고, 비흡수성, 경량성, 내화성이 우수하며, 대량생산도 용이하고 시공성도 좋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주방, 화장실, 목욕탕, 세면장 등에 사용한다. 1) 자기질 타일 흡수성이 거의 없으며, 소성 온도가 1,250도씨 이상인 것으로 경도가 높아 견고하고 치밀하여 두드리면 금속성의 많은 소리를 낸다. 바닥용 타일에 주로 사용되며 모자이크 타일의 제작에도 사용된다. 2) 석기질 타일 자기질과 도기질의 중간 성격이며, 압출성형에 의한 습식..
2023. 1. 23.
인테리어 공기 조화 설비, 급 배수 설비
1. 공기조화 설비재 공기조화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일이다. 공기조화 설비는 습도조절, 환기, 공기정화를 위한 공조시설 등으로 세분화되며, 위생시설을 요구하는 병원이나 연구소, 정밀제품 생산 공장 등에는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1) 덕트 덕트란 공기가 흐르는 통로로 풍도라고도 한다. 덕트의 형태는 단면이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제작되고 설치된다. 덕트는 기능적으로는 급기와 배기로 나눠지며, 열의 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덕트 둘레에 단열재를 감기도 한다. 덕트의 재료로는 함석,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PVC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 각형 덕트 가장 많이 적용되는 덕트의 형태로 주로 함석을 절곡하여 제작하며, 덕트와 덕트..
2023. 1. 23.